1. 사업명 : 2021 재가 치매노인 보조기기 지원사업* 이 사업은 건강영역기금, 박한탁기금1로 지원되며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와 파트너십을 맺어 공동으로 진행되는 사업입니다. 2. 지원대상– 아래 항목에 모두 해당되는 자 1) 서울, 경기, 인천 지역에 거주하며 (※ 시설 거주자 신청불가) 2) 치매진단(상병코드 F00~F03, G30)을 받은 3) 만 65세(1956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) 이상의 소득수준이 낮은 재가노인 4) 치매안심센터 등 관련 기관에서 추천하는 재가노인 또는 주 보호자가 함께 거주하며 보조기기의 사용이 필요한 재가노인 3. 지원내용1) 지원인원 : 총 70명 2) 지원내용 – 치매노인을 위한 맞춤형 보조기기 최대 4품목 지원 (1인 최대 200만원 이내) : 지정품목 3품목(하단 물품 중 선택), 비지정품목 1품목(신청서 내 직접 기재) – 지원 보조기기에 대한 사용훈련 및 사후관리 서비스 제공 ※ 비지정품목의 경우 현장평가 전문가의 판단에 의한 보조기기로, 치매노인의 환경 및 지원자의 욕구를 고려하여 일상생활 및 안전예방 등 대상 치매노인에게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보조기기 지원 3) 보조기기 지원품목 ※ 보조기기 사진은 참고용이며, 최종 지원 시 지원되는 보조기기와 상이할 수 있음 – 지정품목 (3품목) 보조기기명 | 사진 | 기기설명 | 일상생활 보조기기 | 에이프런 및 식기류 |  | 식사 시 사용하는 에이프런 및 식기류 | 손떨림 방지 스푼 |  | 파킨슨, 치매 등 손떨림 및 손의 움직임에 제한이 있는 노인의 식사를 돕는 숟가락 | 목욕의자 |  | 안전한 목욕 수행을 도모 할 수 있는 목욕의자 | 논슬립 매트 |  | 미끄러짐의 방향이 한쪽으로만 가능한 시트로 앉은 자세에서 이승을 도움 | 전동 석션 칫솔 |  | 진동 및 석션이 가능한 칫솔로 와상 노인 및 장애인의 구강 청결을 도움 | 디지털알람 알약 케이스 |  | 설정된 시간에 알람이 울려 치매노인이 약 먹는 시간임을 알 수 있도록 도움 | 방수시트 |  | 침대 또는 침구류에 사용하여, 소변 실수 등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위생매트 | 안전 Kit | | | 안전손잡이, 센서등 |  | 안전손잡이 : 욕실 또는 욕실입구 등에 설치 또는 장착하여 낙상을 예방할 수 있음 센서등 : 야간 실내 이동 및 이동 시 안전을 위한 장치 |  | 침대 사이드가드 |  | 가정용 침대에 사용할 수 있는 낙상 예방 침대 난간 사이드 가드 | 보행보조벨트, 미끄럼방지매트 |  | 보행보조벨트 : 독립적인 기립/보행이 어려운 대상의 이승 또는 보행 시 안전을 돕는 보조기기 미끄럼방지매트 : 욕실, 욕실 입구 등 미끄러운 바닥에서 낙상을 예방 할 수 있음 |  | 기립방석 |  | 쇼파나 의자에 독립적으로 앉기/서기에 제한된 대상의 착석 또는 기립자세 시 도움 | 모니터링 | 배회감지기 매트 |  | 센서에 압력이 발생 또는 제거되었을 때 경보음을 통해 치매 노인의 배회 또는 침상에서의 낙상을 알려주는 보조기기 | 배회감지 모니터 |  | 보호자가 치매노인을 다양한 장소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, 배회와 안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는 모니터 | GPS 배회감지기 |  | GPS 기반의 위치추적기로 치매노인의 위치를 보호자의 스마트폰으로 전달이 가능한 보조기기 | 심리안정 | 치매인형 |  | 심리치료용 로봇, 인형으로 쓰다듬거나 말을 걸면 실제 반려동물처럼 반응을 해 노인들에게 정서적인 안정 제공 및 치매 예방 | 인지활동 및 신체활동 | 인지강화키트 |  | 컬러링북 및 손기능활동 교구 등 인지활동강화 셋트 구성 | 화투패짝맞추기 |  | 두뇌활동 증진을 통해 치매, 뇌졸중 환자의 재활 개선에 도움을 주는 보드게임 | 다감가패드 |  | 천이나 리본을 펼치고, 다양한 감각 제공을 통해 능동적인 손 기능 훈련이 가능한 교구 | 퀸즈까롬 |  | 스트라이크를 손가락으로 튕겨 모서리 홀에 넣는 게임으로 국내 알까기와 비슷한 게임으로 신체활동에 도움 | 컬링게임 |  | 동계스포츠 컬링과 같은 규칙으로 경기과 이루어지는 게임으로 가정 내 신체활동에 도움 | DIPDA |  | 안전바가 제공되며, 관절회전운동과 분리되는 발판을 통해 다양한 근력 트레이닝에 도움 |
– 비지정품목 (1품목) 예시  |  |  |  |  |  | 전동침대 | 기립훈련기 | 리프트체어 | 상하지운동기구 | 음성증폭기 | 세발기 |
4. 제출서류1) 2021 재가 치매노인 보조기기 지원사업 신청서(제공양식) 1부 [신청서] 2021 재가치매노인보조기기지원사업 2)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 1부 ※ 1)신청서 양식에 첨부되어 있음 3) 치매진단서(상병코드 F00~F03, G30) 또는 진단코드가 기입된 약처방전 1부 4) 소득 증명서(차상위계층 및 기초생활수급자증명서) 또는 건강보험납입증명서 1부 5. 접수방법 : 기관, 개인 모두 신청가능1) 신청 구분 – 기관신청 : 서울, 경기, 인천지역 치매지원센터, 노인복지관 등 노인 사례관리가 가능한 기관 추천(신청서 첫페이지 기관 직인 必) – 개인신청 : 공란 없이 기재하여 신청서 접수 2) 접수기간 : 2021.03.11(목) ~ 2021.04.16(금) 18:00 도착분 까지 3) 접수처 – 주 소 : (11786) 경기도 의정부시 충의로 73 산광빌딩 3층 302호 경기도보조기기북부센터 – 이메일 : atidea@atrac.or.kr – 연락처 : 031-852-7363 6. 사업일정구분 | 일정 | 비고 | 신청접수 | 3월 11일(목) ~ 4월 16일(금) | 4월 16일(금) 18시 도착분까지 | 1차 서류심사(현장평가 대상자) 결과 발표 | 5월 6일(목) | 아름다운재단 및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 홈페이지 공지 | 현장평가 | 5월 10일(월) ~ 6월 4일(금) | 개별연락 | 최종 선정 대상자 발표 | 7월 1일(목) | 아름다운재단 및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 홈페이지 공지 | 보조기기 지원 및 사용자 훈련 | 8월 30일(월) ~ 9월 30일(목) | 납품업체 및 센터 보조공학 전문가 동행 사용자 훈련 실시 | 사후관리 서비스 | 11월 1일(월)~11월 30일(화) | 보조공학 전문가의 가정 방문을 통한 사후관리 서비스 진행 |
7. 심사기준① 보조기기 필요성 ② 지원 효과성 ③ 보조기기 사용환경 ④ 소득수준 ⑤ 전문가 의견 8. 신청시 유의사항① 중복지원의 제한 : 유사사업으로 지원을 받은 경우 지원의 제한을 받을 수 있습니다. ② 신청서에 사실과 다른 사항이 있을 경우 지원결정의 철회 및 해당 보조기기를 반환 조치 할 수 있습니다. ③ 최종 지원대상자의 경우 본 사업 진행절차에 따른 협조사항(만족도 조사 등)에 적극 동의하고 참여해야 합니다. 9. 문의–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(www.atrac.or.kr) 재가 치매노인 보조기기 지원사업 담당자 신재용 연구원/김은평 팀장 : 031-852-7363 – 아름다운재단(www.beautifulfund.org) 변화지원팀 임주현 간사 : jhlim@beautifulfund.org ※ 아름다운재단 지원사업 Q&A 게시판에 질문을 남겨주시면 빠른 시간 내에 답변해드리겠습니다. |